'홈 뷰티'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며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날로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화장품만 사용하자니 효과가 부족하고, 피부과를 방문하기에는 비용이 많이 들기에 바쁜 일상 속에서 집에서 자기 관리를 하는 홈케어족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더 정교하고 효과적인 기술을 가진 뷰티 디바이스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 뷰티테크(Beauty Tech)
○ 뷰티테크란 무엇일까?
'뷰티테크(Beauty Tech)'는 뷰티 디바이스에 특허기술을 접목한 것을 말합니다. 단순하게 팩을 붙이고, 화장품을 바르며 피부를 관리하던 것에서 나아가 최신의 특허기술을 접목함으로서 뷰티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꿔놓고 있습니다. 특허 기술의 효과와 안정성 등에서 차별화를 꾀하는 '뷰티테크(Beauty Tech)' 시장 동향은 어떨까요?
○ 뷰티테크 시장동향
시장조사기관 VynZ에 따르면 글로벌 뷰티테크 시장규모는 2018년 기준 391억 달러(약 48조 2298억원)를 기록했습니다. 또한, 2024년까지 연평균 18.4%성장, 약 1072억 달러(약 132조 2312억원)를 기록할 것이라고 전망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에스테틱 디바이스 시장은 800억원 규모였으나, 매년 10% 이상 성장해 2018년 기준 5,000억원 규모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계속 이어져 KOTRA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조 6,000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 뷰티테크와 특허출원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에 광, 미세전류, 초음파, 고주파 등을 이용하는 피부 관리 제품들이 새롭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LED는 부피가 작고 저렴하며, 피부과의 레이저에 비해 에너지가 낮은데요. 이러한 실용적이고 안전한 특성을 활용하여 피부 치료·관리용 광원으로 LED를 적용한 제품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허청에 따르면, 미용기기, 광학 치료의 특허출원은 2014년 이전 5년간 평균 약 130건 내외로 큰 변화가 없었으나, 2014년 이후에는 연평균 14%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학 치료·미용기기를 대상 부위별로 살펴보면, 최근 5년 기준으로 피부(얼굴, 두피, 모발) 53%, 체내(구강, 비강 등) 31%, 기타 16%로 피부대상 기기가 과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피부대상 기기에 대해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얼굴 28%, 두피·모발 15%, 피부 일반 46%, 피부병증 10%의 비율로 출원되었는데요. 피부대상 기기 중 특히 LED 마스크(LED 광을 피부의 특정부위(얼굴, 목)에 조사하여 피부 상태를 개선하는 미용기기) 관련 특허출원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2014년 이후에는 연평균 39%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뷰티테크 관련 특허
○ 원적외선 마스크
우리에게 꽤 익숙한 원적외선 마스크와 관련된 특허입니다. 원적외선 빛이 1분에 수천 번씩 세포를 진동시켜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원리를 가진 마스크 장치(특허 제10-1879766호)입니다. 설명에 따르면, 원적외선뿐만 아니라 열과 원적외선을 모두 이용하여 온열 효과 및 원적외선 효과를 모두 가질 수 있는 얼굴 마스크 장치입니다. 외부로 흩어지는 원전외선을 피부 깊숙이 침투시켜줄 뿐 아니라 피부 전체에 균일하게 빛을 퍼뜨려 주며, 수분, 탄력, 보습력, 모공 등 전반적인 피부 관리가 가능하고, 눈부심 없이 편안하게 상횽할 수 있는 강점이 있다고 합니다. 무엇보다 상기 특허가 제12회 대한민국 우수특허 대상을 수상했다고 하니 인상 깊습니다.
○ 탈모 예방에 도움을 주는 뷰티 기구
다음으로는 '미세전류 및 적외선에 의한 탈모를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장치(특허 제101-1561016호)'입니다. 관련 설명에 따르면, 전문가의 케어를 받기 위해 번거롭게 외출할 필요없이, 집에서 헬멧형 디바이스를 머리에 착용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구체적으로 두피를 일정 주기로 제어된 형태의 미세전류를 이용하여 자극하면서 동시에 적절한 파장의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하여 탈모 예방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구성을 알아보자면, 착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 면에 배치되어 적외선의 가능한 LED 모듈, 하우징의 내부 면에서 착용이 되는 경우 인체에 접촉이 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미세전류 모듈, 전력 공급을 위한 배터리 및 무선 통신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진동클렌저
마지막으로 큰 유행을 이끌었던 '진동클렌저'와 관련된 특허인 '클렌징장치(특허 제10-1643402호)'입니다. 부드러운 미세모의 움직임과 제품의 진동을 통해 모공 속 노폐물을 제거해 주기 때문에 손으로만 세정할 때보다 더 효과를 볼 수 있어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습니다. 위의 특허는 피부의 탄력에 맞게 진동력을 조절하여 피부의 손상없이 피부를 깨끗하게 클렌징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렌징 장치에 관한 내용입니다. 모공 안쪽까지 꼼꼼하게 세안을 할 수 있도록 좌우, 양방향, 상하운동을 시행하는 브러쉬가 탑재되어 있습니다.
여유로운 라이프 스타일이 보편화될수록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는 점점 커질 것 같습니다. 이에 최신 기술이 접목된 '뷰티테크'의 성장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입니다. 초기 뷰티 디바이스는 단순히 제품을 직접 두드려 펴 바르는 등의 수고를 덜어주는 정도였으나, 홈케어족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국내외 브랜드들이 뷰티 디바이스 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혁신 기술력으로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기까지 발전하고 있는데요. 세분화, 개인 맞춤화의 트렌드에 발맞춰 끝없이 변화하고 있는 뷰티테크 시장이 더욱 기대됩니다. (자료인용 : 특허청, 퓨처플레이,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특허·실용신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슈퍼컴퓨터는 얼마나 빠를까?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두뇌, 슈퍼컴퓨터 (0) | 2020.12.15 |
---|---|
더 이상 벗겨지지 않아요! 재미있는 양말 특허의 세계 (0) | 2020.12.14 |
겨울에 대처하는 생활 속 특허제품 이런것도 있다! (0) | 2020.12.10 |
프린터에서 스테이크가 나온다? 푸드테크와 '3D 푸드 프린터' (0) | 2020.12.10 |
스파이더맨도 막지 못하는 특허권 만료 (0) | 2020.12.09 |
댓글0